Blog thumbnail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언양읍 대곡리에 있는 대이다. 반구대(盤龜臺)는 연고산에서 이어진 줄기가 이곳에서 기암괴석을 이루는데, 『여지도서』(언양)에는 "반구대는 반구산이 관아의 북쪽 18리에 있는데, 으뜸 산줄기가 고헌산 남쪽 기슭에서 뻗어 나온다. 그 산의 모습이 준마가 모로 달리는 듯, 창칼이 죽 늘어선 듯하다. 높았다 낮았다 하며 땅이 다하는 곳까지 뻗어 나간 산기슭이 물가까지 달려가서, 거북이가 엎드려 있는 듯한 모습으로 서려있어, 이를 이름하여 반구대라고 한다

Blog thumbnail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삼남면 가천리와 상북면 등억리에 걸쳐 있는 산이다(고도 : 1,159m). 신불산(神佛山)은 신령이 불도를 닦는 산이라고 하여 유래한 지명이다. 일설에 불(佛)은 성읍이나 도시의 의미를 가진 말로 성스러운 성읍터의 산으로 해석하고 있다. 읍지와 군현지도 등 문헌에는 등장하지 않는 지명인데, 『조선지형도』(언양)에는 신불산으로 표기하고 있다. 신불산은 왕뱅, 왕방이라고도 부르는데, 모두 왕봉을 말하는 곳으로 산꼭대기에 묘를 쓰면 역적이 난다는 말이 전해지고 있다. 영취산과 이어지는 구간에는 억새평원이 있고, 왕봉 아래에는 홍류폭포(虹流瀑布)가 있다. 홍류폭포는 폭포수가 햇빛을 받으면 무지개가 서린다고 하여 유래한 지명이다. 1983년 군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1998년에 개장한 신불산 폭포 자연휴양림이 자리잡고 있다.

Blog thumbnail

작괘천에는 높이 1,083m의 간월산에서 내려오는 물이 흐른다. 넓은 바위가 물살에 깎여 파인 형상이 술잔을 걸어둔 모양이라는 연유로 작괘천이라 이름붙여졌다. 역사적으로는 고려의 충신 정몽주의 글 읽던 자리와 언양지방 3.1운동의 중심지로도 알려져 있다. 또한 1902년 여름에 최시명 군수가 세운 작천정에서 보이는 비경이 유명하다. 작괘천은 화강암으로 된 옥산과 봉화산 사이의 협곡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바위면에는 형석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달밤이면 빛을 반사하는 것으로 장관을 이룬다. 2002년 12월 울산군에서 선정한 을주 12경 중 한 곳이기도 하다. 주변의 관광명소로는 자수정동굴, 간월사지석조여래좌상이 있으며, 작괘천의 윗쪽으로는 수질이 좋은 등억온천단지가 있다.

Blog thumbnail

백룡(白龍)이 살았다는 태화강 상류 백룡담 푸른 물 속에 있는 기암괴석이다. 깎아지른 듯 우뚝 서 있는 바위라 하여 선바위(立石)라 부른다. 높이는 33.3m(수면 위 21.2m, 수면 아래 12.1m)이고, 수면 위 둘레는 46.3m, 바위 꼭대기 부분의 폭은 2.9m이다. 울주군 범서읍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예로부터 빼어난 경치에 시인 묵객들이 즐겨 찾았다고 한다. 선바위를 마주보는 벼랑 위에는 학성이씨(鶴城李氏)의 정자인 용암정(龍岩亭)과 선암사(仙岩寺)가 있다. 선바위를 기점으로 태화강 십리대밭이 펼쳐진다.

Blog thumbnail

높이 15m의 장대한 폭포로 영남알프스 산지를 대표하며 울산12경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신불산폭포자연휴양림 내에 자리 잡고 있는 파래소폭포는 간월산(肝月山)과 신불산(神佛山) 사이 협곡의 끝자락에 위치하며 폭포 주변으로 간월산, 신불산, 명축산, 재약산, 향로산 자락이 병풍처럼 울타리를 치고 있다.

Blog thumbnail

가지산(1,241m), 운문산(1,188m), 천황산(재약산:1,189m), 신불산(1,159m), 영축산(1,081m), 고헌산(1,034m), 간월산(1,069m) 등 7개 산군이 유럽의 알프스처럼 아름답다는 의미에서 이름이 붙여졌다.

Blog thumbnail

동해안에서 맨 먼저 떠오르는 해를 볼 수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영일만의 호미곶보다 1분 빠르게, 강릉의 정동진보다도 5분 빨리 해돋이가 시작된다. 주위에 있는 울산 지역의 진하해수욕장, 서생포 왜성과 함께 새로운 명소로 인기를 얻고 있어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다. 간절곶등대는 바다를 바라보고 우뚝 서 있으며 흰색이다. 등대 앞은 솔 숲인데, 울창하지는 않지만 꼬불꼬불한 모양이 정겹다.

Blog thumbnail

서생포 왜성(西生浦倭城)은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1562~1611]가 1593년 임진왜란 때 축성한 왜성으로, 남쪽의 임랑포 왜성, 기장 왜성, 동래 왜성, 부산 왜성과 더불어 정유재란 때는 북쪽의 울산 왜성과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었다. 입지상으로 평지와 산지를 성벽으로 두른 평산성(平山城)에 해당된다. 1593년(선조 26) 5월에서 7월 사이에 서생포 왜성의 본격적인 축성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1594년(선조 27) 4월부터 가토 기요마사와 서생포 왜성에서 강화회담을 하기 위하여 입성한 사명대사(四溟大師)[1544~1610]의 적정(敵情)에 관한 내용이 『분충서난록(奮忠紓難錄)』에 실려 있는데, 서생포 왜성이 고로(高櫓)가 있고 화려한 어전(御殿)을 가진 성곽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log thumbnail

백사장 면적 9만 6,000㎡, 길이 1km, 너비 300m로 울산광역시에서 남쪽으로 21km 지점에 있다. 수심이 얕으며 백사장이 넓고 바닷물이 맑아 피서지로 적합하다. 회야강과 만나는 곳에서는 담수욕도 즐길 수 있고 간만의 차가 커 썰물 때면 앞바다에 있는 명선도까지 걸어갈 수 있다. 1974년 해수욕장으로 개장한 이래 매년 7월 8일부터 8월 22일까지 개장한다.

Blog thumbnail

1957년 허덕만 씨가 이주하여 옹기를 굽기 시작하면서부터 옹기촌이 형성되었고, 한국전쟁 이후 증가된 옹기수요로 인해 옹기기술을 배우려는 이들이 모여들어 급속도로 성장한 마을이다. 1960~1970년대에는 약 350명의 장인과 도공들이 거주했고, 당시 마을에서 생산한 옹기는 서울뿐 아니라 미국·일본에까지 수출되었다. 2008년 현재 128가구 중 40여 가구가 옹기업에 종사하며, 전국 옹기 생산량의 50% 이상을 제작한다. 울산광역시가 전통옹기체험마을로 지정하였다. 마을에는 옹기회관·옹기전시관·상설판매장·체험실습장 등이 있다.

Blog thumbnail

원래 석남산(石南山)이었으나, 1674년에 석남사(石南寺)가 중건되면서 가지산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 밖에 천화산(穿火山)·실혜산(實惠山)·석민산(石眠山) 등으로도 불렸다.